MSA 2024. 4. 21. 02:07

[MSA] Saga Pattern

목차
  1. 정의
  2. 구현 방식
  3. Orchestration
  4. Choreography
  5. 출처

정의

Saga[각주:1] Pattern은 분산 환경(MSA)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 분산 트랜잭션을 서비스 간 트랜잭션으로 모방한다
    • 같은 서비스에서 하나의 DB에 동작하는 ACID 트랜잭션을 모방
    • 그러나 Isolation(독립성)[각주:2]은 달성할 수 없다
    • 각 서비스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하나의 트랜잭션처럼 보이게 한다
  • 실패 시 보상 트랜잭션(Compensationg Transaction)을 수행하여 일관성을 유지한다.

구현 방식

Orchestration

  • 중앙 집중 관리
  • 중앙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를 적절한 순서로 호출
  • 실패 시 중앙 서비스가 이미 호출한 서비스를 어떻게 보상할 지 알고 있다
  • 서비스 호출 후 응답을 기다린다
    • 응답을 기다리지 않는 비동기 통신으로 최적화 가능
    • 다른 서비스에 명령 전달
  • ex) e커머스 주문 시스템
    • 사용자가 구매 버튼을 클릭
    • Order 서비스 호출
    • Order 서비스가 Orchestator 역할을 수행
    • Order 서비스가 Payment, Inventory, Shipping 서비스를 올바른 순서로 호출
      • 서비스를 호출 후 응답을 기다리고 다음 서비스를 호출
    • 배송 중 실패하면 보상 동작 트리거. 서비스에 결제를 되돌리고 재고를 채우는 요청 전송.
  • 장점
    • 제어가 쉽고 신뢰성이 좋다
  • 단점
    • 오케스트레이터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서비스들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을 때 적절
  • 워크플로 복잡할 때 권장

Choreography

  • 분산형 (각자 수행)
  • 서비스 간 이벤트를 통해 통신 (Event Driven Architecture)
    • 중앙 서비스나 오케스트레이터 없음
  • 서비스는 이벤트에 반응하여 무엇을 해야할 지, 보상이 필요한 지 알게 된다
  • ex) e커머스 주문 시스템
    •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
    • “ProductOrdered” 이벤트를 보냄
    • 결제 서비스 뿐만 아니라 상품 추천 서비스와 같이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다른 서비스에서도 소비
    • 결제 서비스는 결제 확인 후 “ProductPurchased”, 실패하면 “PurchaseFailed” 이벤트를 보냄
      • 결제 실패하면 Order 서비스가 이벤트를 소비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을 알림
      • 이벤트를 소비하지 않는 서비스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 제품 구매되면 이벤트를 보내면 여러 서비스가 이벤트를 읽어서 주문 내역을 업데이트하고, 재고를 차감하고, 배송을 시작한다
  • 응답을 기다리지 않음
    • 단순히 이벤트를 보내면 관심 있는 서비스가 이벤트를 소비하고 작업 수행
  • 워크플로가 단순할 때 권장
  • 이벤트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Truth of Source가 될 수 있다
    • ⇒ Event Sourcing
  • 장점
    • 단순성: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구현과 관리가 단순
    • 확장성: 분산된 아키텍처이므로독립적으로 확장 가능. 오케스트레이션에서는 오케스트레이터가 병목이 될 수 있다
    • 유연성: 새로운 서비스나 프로세르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 더 유연. 오케스트레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만 변경
    • 내결함성(Fault Tolerance): 한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비스는 동작 가능. 오케스트레이션에서는 오케스트레이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프로세스 영향
    • Source of Truth: 이벤트 스트림 자체가 전체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진실의 소스가 도리 수 있다
  • 단점
    •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 롤백이 어렵다
  •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었을 때 적절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C0rGwyJkDTU&t=2s

 

  1. 일련의 사건 [본문으로]
  2. 트랜잭션 수행 시 다른 트랜잭션이 끼어들지 못하게 보장하는 것 [본문으로]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nt Streaming] Serialization / Deserialization (SerDe)을 하는 이유  (0) 2024.06.12
[MSA] Service Mesh  (0) 2024.04.21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 SOA  (0) 2024.04.21
  1. 정의
  2. 구현 방식
  3. Orchestration
  4. Choreography
  5. 출처
'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vent Streaming] Serialization / Deserialization (SerDe)을 하는 이유
  • [MSA] Service Mesh
  •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 SOA
이우진 기술 블로그개발자 이우진의 기술 블로그입니다
개발자 이우진
이우진 기술 블로그
  • All (86)
    • Spring Framework (20)
    • MSA (7)
      • Event Driven Architecture (3)
    • Java (3)
    • Flink (2)
    • Computer Science (9)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3)
    • Problem Solving (15)
    • Design Pattern (0)
    • React (4)
    • Javascript (2)
    • Web (3)
    • Tools & Environment (3)
    • C++ (2)
    • misc (5)
    • Essay (3)
      • 기술 회고 (5)
  • 홈
  • 태그
  • 관리자
  • 글쓰기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MSA] Saga Pattern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