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2024. 8. 2. 16:10

[Network][스크랩] HTTP Status Code 422 - Unprocessable Entity

목차
  1. 요약

요약

  • 요청은 올바르지만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 ex) 엔티티의 생성 가능한 최대 개수 초과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1990143/400-vs-422-for-client-error-request

 

400 vs 422 for Client Error Request

I've read a lot of posts and articles regarding proper http status code to return for client request error. Others suggest to use 400 as it has been redefined in RFC 7231 though I'm not sure if the

stackoverflow.com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422

 

422 Unprocessable Content - HTTP | MDN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422 Unprocessable Content 응답 상태 코드는 서버가 요청 엔티티의 컨텐츠 형식을 이해했고 요청 엔티티의 문법도 올바르지만 요청된 지시를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

developer.mozilla.org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FK Constraint를 실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이유  (0) 2024.07.12
[DB] MySQL에서 WHERE IN, JOIN, EXISTS의 성능 비교  (0) 2024.07.05
[Network][스크랩] Bearer Authentication 헤더 규칙이 정해진 배경  (0) 2024.06.24
Reactive Programming  (0) 2024.04.16
[Network] HTTP response status code  (0) 2024.04.06
  1. 요약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B] FK Constraint를 실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이유
  • [DB] MySQL에서 WHERE IN, JOIN, EXISTS의 성능 비교
  • [Network][스크랩] Bearer Authentication 헤더 규칙이 정해진 배경
  • Reactive Programming
개발자 이우진
이우진 기술 블로그
  • All (86)
    • Spring Framework (20)
    • MSA (7)
      • Event Driven Architecture (3)
    • Java (3)
    • Flink (2)
    • Computer Science (9)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3)
    • Problem Solving (15)
    • Design Pattern (0)
    • React (4)
    • Javascript (2)
    • Web (3)
    • Tools & Environment (3)
    • C++ (2)
    • misc (5)
    • Essay (3)
      • 기술 회고 (5)
  • 홈
  • 태그
  • 관리자
  • 글쓰기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Network][스크랩] HTTP Status Code 422 - Unprocessable Entity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